1. 반성적 사고
승자에게 자만과 무모함이 오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것을 제어하는 것, 그래서 부정적 승자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이 바로 '반성적 사고'이다.
반성을 하게 되면 '메타 인지'가 올라간다. 메타 인지란 내가 뭘 알고 뭘 모르는지를 아는 것으로 자신을 객관화하여 볼 수 있는 능력이다.
메타 인지를 높일 수 있는 반성적 사고 - '기록'
AAR( 3F 신속함, 자유로움, 사실 )
1)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
2)실제로 발생한 결과는 무엇인가?
3)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
BAR
프로젝트를 하기 전에 명확한 목표, 목표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리스크의 발생 원인과 대응 방안을 예측해서 적어 보는 것을 말한다.
2. 통계적 사고
통계적 사고를 통해 우리는 현재 상황을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론 부족한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문제 해결을 위한 유의미한 통찰을 뽑아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자신만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계의 함정
1.인과관계 와 상관관계의 차이를 확인하고 유의미한 상관관계와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살펴볼 줄 알아야 한다.
2.독립성을 혼동하지 말자. 특히 독립적이지 않은 종속 사건을 독립사건으로 오해하지 말자.
3.수치 비교의 함정에 빠지면 안 된다. 명복 가치와 실질 가치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무엇에 대한 백분율인지를 잘 따져 봐야 한다.
수치를 표현하는 기간도 잘 염두에 둬야 한다.
평균값과 중앙값도 마찬가지다. - 이탈값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3. 맥락적 사고
맥락적 사고는 모순되거나 대립되는 요소가 상황에 따라 혹은 균형감 있게 양립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인텔의 실패를 통해 상황이 바뀌면 전가의 보도도 무딘 칼이 될 수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혁신의 방법 : 이미 존재하고 있는 지식을 연결하는 것.
결국 우리는 개인과 조직의 입장에서 많은 지식을 아는 것이 혁신의 지름길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지식의 탐색 이라한다.
너무 과한 지식의 탐색은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지식의 심화 : 탐색을 통해 얻은 지식을 자신의 일에 맞게 개량, 응용, 적용 등을 통해 체화시키는 것.
결국 지식의 탐색과 지식의 심화가 균형을 이룰 때 혁신은 더 쉽게 다가온다. 실질학습의 필요성.
실패의 비용을 준비한 조직과 사람은 기회가 왔을 떄 더 도전적인 전략을 쓸 수 있다.
4. 시스템적 사고
시스템 전체를 생각하지 않고 지금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이득을 취하려하거나 손쉬워 보이는 해결책을 실행할 경우 이익은커녕 손해를 보거나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
5. 재무적 사고
지금 당장이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이득( 안티프레질 )
지식의 저주 : 내가 알고 있는 것을 상대방이 모를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
고객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해 예측력 높이기.
관찰 : 빅데이터, 스몰 데이터
'책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취월장 4.혁신] (0) | 2020.10.14 |
---|---|
[일취월장 3장. 선택] (0) | 2020.10.11 |
[일취월장 - 일을 잘하기 위한 8가지 방법 1장. 운] (0) | 2020.10.08 |
폴리매스 : 다재다능의 힘 (0) | 2020.10.07 |
탁 월 한 인 생 을 만 드 는 법 (0) | 2020.08.29 |